1 |
고려말 염홍방의 정치활동과 사사의 변화 |
도현철 |
東方學志 =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|
2008 |
연속간행물(국내) |
제141집 |
2 |
고려시대 사람들의 개명(改名) |
박진훈 |
東方學志 =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|
2008 |
연속간행물(국내) |
제141집 |
3 |
다산(茶山)에게서 이사(易詞)의 임의성과 이상(易象)의 근본성이 주는 철학적 의미 |
황병기 |
東方學志 =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|
2008 |
연속간행물(국내) |
제141집 |
4 |
茶山에게서 易詞의 임의성과 易象의 근본성이 주는 철학적 의미 |
황병기 |
東方學志 =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|
2008 |
연속간행물(국내) |
제141집 |
5 |
둔갑 의 생리, 그 욕망과 수용의 문화적 맥락 - 둔갑 설화 와 『옹고집전』에 투영된 둔갑 행위의 문화적 전제와 문학적 상상력- |
최기숙 |
東方學志 =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|
2008 |
연속간행물(국내) |
제141집 |
6 |
위당(爲堂) 정인보(鄭寅普)의 묘도문자(墓道文字)에 나타난 시대 의식 |
김영봉 |
東方學志 =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|
2008 |
연속간행물(국내) |
제141집 |
7 |
정인보(鄭寅普)의 양명학관(陽明學觀)에 대한 연구 |
한정길 |
東方學志 =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|
2008 |
연속간행물(국내) |
제141집 |
8 |
조선과 중국의 서적중개상과 서적 유통문화 연구 |
이민희 |
東方學志 =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|
2008 |
연속간행물(국내) |
제141집 |
9 |
조선초기(朝鮮初期) 야인(野人)과 대마도(對馬島)에 대한 번리(藩籬),번병(藩屛) 인식(認識)의 형성과 경차관(敬差官)의 파견 |
정다함 |
東方學志 =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|
2008 |
연속간행물(국내) |
제141집 |
10 |
초기 한국 개신교 예배당의 발전 과정과 특성 |
옥성둑 |
東方學志 =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|
2008 |
연속간행물(국내) |
제141집 |